본문 바로가기
개발환경

개발환경 설정 (feat. 맥북 M1)

by 고라파휴먼 2023. 4. 1.

[SSS급 개발자가 실력을 숨김] 개발환경

개발환경 설정 (feat.  맥북 M1)


2020년 10월, 통장에 있던 전재산 100만원으로 인생 첫 맥북을 구매했습니다.

(지금 생각해도 정말 손 떨리네요...)

새로 나온 M1칩이 탑재된 13인치의 작고 귀여운(중요) 맥북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에 하루하루 행복했던 기억이 납니다.

하지만 어제, 2년 반의 추억을 뒤로 한 채 맥북 공장초기화를 진행했습니다.

나의 작고 소중한 맥북과 함께 새로 시작하는 개발환경 설정과정을 공유하겠습니다.

 

먼저 제 이력을 말씀드리면,

 

글쓴이 맥북사용 이력

2020년
   - 맥북(M1) 13 Air 구매
   - 맥북 파우치 구매 [링크]
2022년
   - 맥북(M1) 14 Pro 사용 (in 회사)
   - 한무무 gk888b 맥용 키캡 구매 [링크]
2023년
   - 맥북(M1) 16 Pro 사용 (in 같은회사)
   - 로지텍 Lift for Mac 마우스 구매 [링크]

 

...이상입니다. 이제 개발환경 설정을 시작해보죠.


1. Chrome 설치

노트북의 시작은 크롬 설치입니다. 기억하세요. 노트북의 시작은 크롬 설치. 크롬.

 

1) Chrome 다운로드 페이지 방문

     - https://www.google.co.kr/chrome/

     - "Chrome 다운로드" 버튼 클릭

2) 다운로드 폴더에서 "googlechrome.dmg" 파일 열기

3) Chrome 아이콘을 응용 프로그램 폴더에 드래그해서 넣기

googlechrome.dmg

4) Launchpad 에서 Chrome 아이콘 확인 -> 설치완료


2. Homebrew & iTerm2 설치

macOS 용 패키지 관리자인 Homebrew를 설치하고, iTerm2도 설치해줍니다. 약 1분 소요되니 라면물을 올려봅시다.

 

02. Homebrew & iTerm2 설치

[SSS급 개발자가 실력을 숨김] 개발환경 Homebrew & iTerm2 설치 1. Homebrew 설치 Homebrew The Missing Package Manager for macOS (or Linux). brew.sh 1) 터미널 열기 2) 설치 명령어 입력 # 명령어 입력 후 엔터 $ /bin/bash -c "

codingisconfidence.tistory.com


3. PhpStorm 설치

이제 슬슬 코드를 작성하고 싶으니, IDE를 설치해줍니다. 개발을 시작했을 때부터 vscode를 모든 프로젝트의 IDE로 사용했는데, 이번에 회사에서 Phpstorm 유료계정을 구독해주셨습니다. 역시 돈내고 쓰는건 다릅니다. 돈 최고. 대표님께 무한 감사를...

 

03. PhpStorm 설치

[SSS급 개발자가 실력을 숨김] 개발환경 PhpStorm 설치 1. Homebrew 설치

codingisconfidence.tistory.com


4. PHP & Composer 설치

nodejs 보다 php & composer를 먼저 설치하는 나란 프론트엔드개발자, 멋지다고 생각합니다.

 

$ brew install composer

# 설치 후 버전 확인
$ composer -v
$ php -v

위 명령어로 composer를 설치합니다. php도 자동으로 같이 설치됩니다. 참 좋네요.


5. Git 설치

세상에 git 설치를 까먹었습니다. 바로 진행해보죠.

 

$ brew install git

# 설치 후 버전 확인
$ git -v

위 명령어로 git을 설치합니다. 아무리 바빠도 git 설치를 까먹으시면 안됩니다. git은 뭐랄까.. 인생의 동반자같은 그런 존재이니까요.


6. MySQL 설치

주로 사용하는 RDBMS인 MySQL을 설치해보겠습니다. 5.7 버전입니다.

 

$ brew install mysql@5.7

~~~

# 성공 시, 아래와 같은 영역을 찾아서 echo부터 ~/.zshrc 까지 복사
If you need to have mysql@5.7 first in your PATH, run:
  echo 'export PATH="/opt/homebrew/opt/mysql@5.7/bin:$PATH"' >> ~/.zshrc

~~~

# 복사한 명령어 붙여넣고 실행
$ echo 'export PATH="/opt/homebrew/opt/mysql@5.7/bin:$PATH"' >> ~/.zshrc
$ source ~/.zshrc

# mysql 버전 확인
$ mysql --version

# mysql 기본설정
$ mysql_secure_installation
    Press y|Y for Yes, any other key for No: No
    New password: ${새비밀번호}
    Re-enter new password: ${새비밀번호}
    Remove anonymous users? (Press y|Y for Yes, any other key for No) : Y
    Disallow root login remotely? (Press y|Y for Yes, any other key for No) : Y
    Remove test database and access to it? (Press y|Y for Yes, any other key for No) : N
    Reload privilege tables now? (Press y|Y for Yes, any other key for No) : Y
    All done! (끝)

# mysql 실행
$ mysql.server start

# mysql 진입 (아래 명령어 입력 후 비밀번호 입력)
$ mysql -u root -p

# mysql 나가기
mysql> exit;

# mysql 종료
$ mysql.server stop

위 명령어로 MySQL을 설치합니다. 써놓고 보니까 기네요.. 글로 따로 적어야겠습니다. 언젠가...


7. Node.js + yarn 설치

드디어 Node.js를 설치해보겠습니다. Homebrew로 동일하게 설치할게요. yarn 도 같이 설치해주겠습니다.

 

$ brew install node

# 설치 후 버전 확인
$ node -v
$ npm -v

# yarn 설치
$ brew install yarn --ignore-dependencies

# 설치 후 버전 확인
$ yarn -v

설치 후에는 정상적으로 완료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버전을 꼭 확인하도록 해요.


8. Slack 설치

Slack은 생산성 플랫폼입니다. 회사에서도, 작은 팀 프로젝트 할 때도 사용하고 있습니다. 요즘은 인터넷강의 같이 수강하시는 분들끼리 만들어서 같이 쓰시기도 하더라구요. https://slack.com/ 에서 플랫폼 상세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 

$ brew install --cask slack

이전 설치 명령어와는 뭔가 약간 다르죠? cask는 GUI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때 사용하는 확장 프로그램입니다. 해당 명령어가 잘 실행되면 Launchpad 에서 Slack 아이콘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. 로그인하고 참여중인 워크스페이스를 선택하면 끝~

 


네 이렇게 개발환경을 설정해보았는데요.

프로그램 설치 순서는 제 마음대로 배정된 것임을 알려드립니다.

새로 설치하는 상황이 생길 때마다 와서 추가해보도록 하겠습니다.

'개발환경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PhpStorm 설치  (0) 2023.04.05
Homebrew & iTerm2 설치  (0) 2023.04.01

댓글